開啟 App
0人評分過此書

조선유학의 교육철학사상 변주 Ⅰ 朝鮮儒學的教育哲學思想變奏 Ⅰ

出版日期
2020/12/31
閱讀格式
PDF
書籍分類
學科分類
ISBN
9788949949369

本館館藏

借閱規則
當前可使用人數 1
借閱天數 14
線上看 0
借閱中 0
選擇分享方式

推薦本館採購書籍

您可以將喜歡的電子書推薦給圖書館,圖書館會參考讀者意見進行採購

讀者資料
圖書館 元智大學
* 姓名
* 身分
系所
* E-mail
※ 我們會寄送一份副本至您填寫的Email中
電話
※ 電話格式為 區碼+電話號碼(ex. 0229235151)/ 手機格式為 0900111111
* 請輸入驗證碼
머리말
이 책은 조선유학을 교육학의 관점에서 정리한 것이다. 특히, 16세기 중 후반부터 17세기 초반까지 조선 중기 유학이 지닌 몇몇 특징을 교육철 학사상의 시선으로 조명하였다. 책의 제목에서 ‘변주(變奏)’라고 한 것은 음악에서 ‘어떤 주제를 바탕으로 리듬(rhythm)이나 멜로디(melody) 또는 하모니(harmony)를 변형하여 연주하듯이’, 조선유학이라는 주제에 터하여 변주하는 양상을 비춰보며 스펙트럼의 차이를 엿보았기 때문이다. 참고문헌에 제시한 것처럼, 지금까지 발표한 논문과 저서 가운데 주요 내용을 정돈하고 수정 보완하여 재구성하였다.
조선유학이라는 전문 영역을 고려하여, 성리학(性理學)의 주요 개념을 한자(漢字) 그대로 노출해 놓았고, 핵심 용어나 내용의 경우에는 중복되는 부분일지라도 반복 제시하여, 각 장별로 내용의 완결성을 갖도록 하였다. 또한 이해를 돕기 위해, 성리학의 주요 개념이나 용어는 교육학적 의미를 부여하거나 현대적 언어로 번안하였다. 필요에 따라서는 한문(漢文)의 구절이나 단락을 적절하게 자르거나 나누어서 제시하기도 하였다.
조선 중기의 유학자 가운데 훌륭한 학자가 많다. 하지만 여기에서는 교육철학사상에 의미를 부여할 만한 유학자 7명을 선정하여, 사유의 변주를 들어 보았다. 아동교육의 차원에서 다룬 소요당 박세무(逍遙堂朴世茂, 1487∼1564)를 비롯하여 성인교육 및 지도자 교육, 일반교육, 유학교육철 학사상의 심화 등에 대해 퇴계 이황(退溪李滉, 1501∼1570), 남명 조식(南冥曺植, 1501∼1572), 율곡 이이(栗谷李珥, 1536∼1584), 내암 정인홍(來庵鄭仁弘, 1535∼1623), 석탄 이신의(石灘李愼儀, 1551∼1627), 여헌 장현광(旅軒張顯光, 1554∼1637) 등이다.
퇴계 이황과 남명 조식, 그리고 율곡 이이의 경우, 다양한 영역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다른 학자들은 연구 성과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특히, 교육철학사상으로 정돈한 사례는 미미하다. 퇴계와 남명, 율곡과 내암은 비슷한 시기에 출생하였으나 다른 길을 선택한 대표적 유학자이다. 동일한 성리학을 교육의 모체로 삼았으면서도, 그 실천의 양상에서 무게중심이 다르다. 철학사상의 차이가 교육행위에 반영될 때, 얼마나 엄중한가! 그 적나라한 모습이 이들에게서 발견된다. 소요당과 석탄, 여헌의 경우에도 유학교육 철학사상의 독특성이 엿보인다. 그들의 사유를 점검하면서 다른 유학자들이 강조한 교육적 특징을 검토하면, 조선유학이 지향하는 교육철학을 보다 풍부하게 확인할 수 있으리라.
여러 가지로 부족하지만, 이 책을 통해 한국교육철학사상의 지평이 확장되기를 기대한다.

입동(立冬) 무렵.

신창호

(以下為AI翻譯,僅供參考)

引言
本書從教育學的視角整理了朝鮮儒學,特別是從16世紀中後期到17世紀初期,朝鮮中期儒學所具備的一些特點,並以教育哲學思想的眼光進行了闡釋。書名之所以取為「變奏」,是因為它像音樂中「以某個主題為基礎,變奏節奏(rhythm)、旋律(melody)或和聲(harmony)進行演奏一樣」,本書以朝鮮儒學為主題,映照其變奏的樣貌,窺見了其譜系上的差異。如參考文獻所示,本書是將已發表的論文和著作中的主要內容進行了整理、修改和補充,並重新構築而成。
考量到朝鮮儒學的專業性,本書直接以漢字呈現了性理學的主要概念,對於核心術語或內容,即使有重複之處也予以反覆呈現,以確保各章內容的完整性。此外,為了便於理解,性理學的主要概念或術語被賦予教育學意義或轉譯為現代語言。在必要時,也會適當地裁剪或劃分漢文的句子或段落以供呈現。
朝鮮中期的儒學家中有許多傑出的學者。但本書選取了其中七位在教育哲學思想上具有重要意義的儒學家,探討了他們思想的變奏。其中包括從兒童教育層面討論的逍遙堂朴世茂(1487-1564),以及就成人教育、領導者教育、普通教育、儒學教育哲學思想的深化等方面進行闡述的退溪李滉(1501-1570)、南冥曺植(1501-1572)、栗谷李珥(1536-1584)、來庵鄭仁弘(1535-1623)、石灘李愼儀(1551-1627)、旅軒張顯光(1554-1637)等人。
退溪李滉、南冥曺植和栗谷李珥等人的研究已在多個領域進行了大量探討,而其他學者的研究成果則相對較少,尤其缺乏以教育哲學思想為主題的整理案例。退溪、南冥、栗谷和來庵出生於相似時期,卻選擇了不同道路,是具有代表性的儒學家。他們都以相同的性理學為教育母體,但在實踐的樣貌上卻重心各異。哲學思想的差異反映在教育行為中時,是多麼嚴峻!他們身上體現了這種赤裸裸的面貌。逍遙堂、石灘、旅軒的思想中也窺見了儒學教育哲學思想的獨特性。透過檢視他們的思想,並考察其他儒學家所強調的教育特點,將能更豐富地確認朝鮮儒學所追求的教育哲學。
儘管多有不足,但期盼透過本書,能拓展韓國教育哲學思想的視野。
立冬時節。
신창호

評分與評論

請登入後再留言與評分
幫助
您好,請問需要甚麼幫助呢?
使用指南

客服專線:0800-000-747

服務時間:週一至週五 AM 09:00~PM 06:00

loading